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자격증 시험 핵심 요약 노트
※ 본 게시글은 "AWS Cloud Practitioner Essentials (Korean) (Na) (한국어 강의)"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음.
https://explore.skillbuilder.aws/learn/courses/13522/aws-cloud-practitioner-essentials-hangug-eo
Self-paced digital training on AWS - AWS Skill Builder
explore.skillbuilder.aws
가. AWS Global Infrastructure (AWS 글로벌 인프라)
1. 리전 선택
- 재난 발생에 대비하기 위해 구축한 대규모 그룹의 자체 데이터 센터를 "리전"이라 부르며, 전 세계 곳곳에 존재한다.
- 고객은 아래 네 가지 비즈니스 요소를 고려하여 리전을 선택할 수 있다.
1) 데이터 거버넌스 및 법적 요구 사항 준수
- 데이터가 특정 국가 내에 존재하여야 하는 경우, 해당 국가의 리전을 선택한다.
2) 고객과의 근접성
- 더 빠른 콘텐츠 제공을 위해 고객들의 지리적 위치와 가장 가까운 리전을 선택한다.
3) 리전 내에서 사용 가능한 서비스
- 가장 가까운 리전에서 원하는 AWS 기능을 제공하지 않을 경우 다른 리전을 선택한다.
4) 요금
- 리전에따라 동일한 서비스를 사용하여도 운영 비용이 다르므로 저렴한 리전을 선택한다.
2. 가용 영역
- 각 리전은 여러 데이터 센터로 구성되며, 이를 가용 영역(Availability Zone, AZ)라 부른다.
- 가용 영역은 예비 전원과 네트워킹을 구비한 단일 데이터 센터 또는 데이터 센터의 그룹으로 구성된다.
- 재해에 대한 장애를 예방하기 위해 한 리전에서 두 개 이상의 가용 영역을 사용하는 것을 AWS는 권장하고 있다.

나. Edge Location
1. Edge Location
- 전 세계에 분산된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로, 사용자에게 더 빠르고 안전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다.
- AWS의 글로벌 인프라의 일부로 작동하며, 주로 콘텐츠 전송(CloudFront) 및 DNS 응답 최적화(Route53)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.
2. Amazon CloudFront
- CDN은 전 세계 고객과 가까운 위치에 데이터를 캐싱하는 기술이며, AWS에서는 이를 Amazon CloudFront라고 한다.
- 엣지 로케이션을 활용해 데이터, 동영상, 애플리케이션, API를 빠르고 낮은 지연 시간으로 제공한다.
3. Amazon Route 53
- AWS에서 제공하는 확장 가능하고 가용성이 높은 관리형 도메인 네임 시스템(DNS) 서비스이다.
- 사용자의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여 웹사이트, 애플리케이션, API 등의 인터넷 트래픽을 올바른 서버로 라우팅 한다.
4. AWS Outposts
- AWS 서비스를 기업 자체 데이터센터에 설치하여 클라우드 환경을 구현, 격리된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다.
다. AWS 리소스를 프로비저닝 하는 방법
1. AWS Management Console
- Amazon 서비스의 액세스 및 관리를 위한 웹 기반 인터페이스이다.
- 최근 사용한 서비스에 빠르게 접근하고 검색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며, 마법사 및 자동화된 워크플로를 제공한다.
- AWS 콘솔 모바일 앱을 통해 리소스 모니터링, 경보 확인, 결제 정보 조회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.
2. AWS Command Line Interface (AWS CLI)
- 명령줄에서 AWS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는 도구로, Windows, macOS, Linux에서 사용할 수 있다.
- 스크립트를 통해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의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.
3. AWS Software Development Kit (AWS SDK)
- AWS 서비스를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쉽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라이브러리 및 도구 모음이다.
- AWS 리소스를 제어하고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.
4. AWS Elastic Beanstalk
- Amazon EC2를 기반으로 하는 환경을 프로비저닝 할 수 있게 지원하는 서비스이다.
- 코드와 구성정보 제공하면 콘솔을 직접 클릭하거나 여려 명령을 작성하지 않고 원하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.
- 환경 구성 저장 및 재배포가 쉬어져, 모든 요소를 개별적으로 프로비저닝 하고 관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진다.
5. AWS CloudFormation
- 인프라를 코드(Infrastructure as Code, IaC)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이다.
- JSON 또는 YAML 형식의 템플릿을 사용하여 AWS 리소스를 프로비저닝, 관리 및 업데이트할 수 있다.
- EC2 뿐만 아니라 스토리지, 데이터베이스, 분석, 기계 학습 등의 다양한 AWS 리소스를 지원한다.
라. 연습 문제
1. 다음 중 가용 영역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무엇입니까?
1) AWS 리소스가 포함된 지리적 영역
2) 리전 내의 단일 데이터 센터 또는 데이터 센터 그룹
3) AWS 서비스가 서비스별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데이터 센터
4) 온프레미스 데이터 센터에서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AWS 인프라를 실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
정답 : 2
2. 다음 중 AWS 글로벌 인프라에 대한 올바른 설명은 무엇입니까?
1) 리전은 단일 가용 영역으로 구성됩니다.
2) 가용 영역은 두 개 이상의 리전으로 구성됩니다.
3) 리전은 세 개 이상의 가용 영역으로 구성됩니다.
4) 가용 영역은 단일 리전으로 구성됩니다.
정답 : 3
3. 리전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는 무엇입니까? (2개 선택)
1) 데이터 거버넌스 및 법적 요구 사항 준수
2) 고객과의 근접성
3) 연중무휴 기술 지원 이용 가능
4) 다른 사용자에게 사용자 지정 권한을 할당하는 기능
5) AWS Command Line Interface(AWS CLI) 이용 가능
정답 : 1, 2
4. 다음 중 Amazon CloudFront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무엇입니까?
1)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방식으로 인프라를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
2) 컨테이너용 서버리스 컴퓨팅 엔진
3) 대기열을 통해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간에 메시지를 보내고 받을 수 있는 서비스
4) 글로벌 콘텐츠 전송 서비스
정답 : 4
5. 다음 중 Amazon CloudFront에서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 있든 콘텐츠를 더 빠르게 전송하기 위해 콘텐츠 복사본을 캐싱하는 데 사용하는 사이트는 무엇입니까?
1) 리전
2) 가용 영역
3) 엣지 로케이션
4) 오리진
정답 : 3
6. 다음 중 AWS Outposts로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은 무엇입니까?
1) 스크립트를 통해 AWS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의 작업을 자동화합니다.
2) 마법사 및 자동화된 워크플로에 액세스 하여 AWS 서비스에서 작업을 수행합니다.
3) 지원되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AWS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합니다.
4) AWS 인프라 및 서비스를 온프레미스 데이터 센터 등 다른 위치로 확장합니다.
정답 : 4